어도비 폰트(Adobe Fonts)의 한글 폰트 변천사


작성일 2024년 5월 25일
3

어도비 폰트(Adobe Fonts)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폰트 라이브러리로, 다양한 서체를 제공하여 디자이너와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에게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한글 폰트는 특히 한국어를 사용하는 디자이너와 개발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도비 폰트는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한글 서체를 개발하고 개선해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어도비 폰트의 한글 폰트 변천사와 함께 Adobe Korea1-2, Adobe KR-9 및 유니코드 기반의 한글 글자수를 포함하여 주요 폰트와 그 발전 과정을 탐구해보겠습니다.

초창기의 한글 폰트

어도비 폰트가 처음 한글 폰트를 도입한 시기는 1990년대 초반입니다. 당시 한글 디지털 서체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었고, 어도비는 전통적인 서체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글 폰트를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 대표적인 한글 폰트로는 ‘어도비 명조(Adobe Myungjo)’와 ‘어도비 궁서(Adobe Gungsuh)’가 있습니다.

어도비 명조체

명조체 스타일의 서체로, 전통적인 서체의 아름다움을 디지털로 구현한 폰트입니다. 주로 책이나 신문, 잡지와 같은 인쇄 매체에서 사용 되었습니다.

어도비 궁서체

궁서체 스타일의 서체로, 고전적인 서예 느낌을 살린 폰트입니다. 전통적인 문서나 행사 포스터 등에 주로 사용 되었습니다.

2000년대의 발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한글 폰트 디자인도 크게 발전하였습니다. 어도비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한글 폰트의 품질을 개선하고, 다양한 스타일의 서체를 추가하였습니다.

어도비 고딕

고딕체 스타일의 서체로, 현대적이고 깔끔한 느낌을 줍니다. 웹디자인과 디지털 콘텐츠에서 많이 사용 되었습니다.

어도비 명조

어도비 명조체의 개량형으로, 보다 세련된 디자인과 높은 가독성을 제공합니다.

이 시기에는 한글 폰트의 다양성과 품질이 크게 향상 되었으며, 이는 웹디자인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성장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한글 서체의 다변화

2010년대에 접어들면서 어도비 폰트는 더 많은 한글 서체를 포함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한글의 다양한 표현 방식을 반영한 서체들이 출시되었으며, 디자이너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하였습니다.

어도비 한 산스

산세리프 스타일의 서체로, 현대적이고 깨끗한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웹과 모바일 환경에서 가독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 되었습니다.

어도비 한 세리프

세리프 스타일의 서체로, 전통적인 명조체의 미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폰트입니다. 가독성이 뛰어나고, 인쇄물과 디지털 콘텐츠 모두에 적합합니다.

Adobe Korea1-2 및 KR-9 문자 세트

어도비는 한글 폰트의 품질과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다양한 문자 세트를 도입했습니다. 그 중에서 Adobe Korea1-2Adobe KR-9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Adobe Korea1-2: 이 문자 세트는 Adobe의 표준 문자 세트 중 하나로, 한글 글자 2,350자를 포함한 KS X 1001(옛 KS C 5601) 표준을 기반으로 합니다. 추가적으로, 이 세트는 4,888자의 한자와 다양한 기호를 포함하여, 한국어 문서 작성 시 필요한 대부분의 문자를 포괄합니다.
  • Adobe KR-9: Adobe KR-9는 Adobe Korea1-2 문자 세트를 기반으로 하여, 현대 한국어 환경에서 필요한 추가적인 문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글 음절 블록과 다양한 기호, 그리고 추가적인 한자 등을 포함하여 더욱 확장된 문자 세트를 제공합니다.

유니코드 기반의 한글 글자 수

유니코드 표준은 전 세계의 모든 문자 시스템을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글도 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니코드에서는 한글을 현대 한글, 옛 한글, 한글 호환 자모 등의 블록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있습니다.

  • 현대 한글 음절 블록: 유니코드에서 정의하는 현대 한글 음절 블록은 총 11,172자의 글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모든 가능한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을 포함하며,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모든 음절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한글 자모 블록: 이 블록에는 초성, 중성, 종성을 포함한 67개의 기본 자모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 한글 호환 자모 블록: 호환성을 위해 이전 표준과의 호환을 위해 추가된 자모들로, 총 94자의 자모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신 한글 폰트

최근에는 어도비가 한국의 서체 디자인 회사들과 협력하여 더욱 다양한 한글 폰트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업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서체를 개발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Adobe 본고딕 (Source Han Sans)

어도비와 구글이 협력하여 만든 오픈소스 서체로, 한국어를 포함한 다국어 지원이 특징입니다. 모든 글자가 통일된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국제적인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Adobe 본명조 (Source Han Serif)

Source Han Sans의 세리프 버전으로, 다양한 크기에서도 우수한 가독성을 자랑합니다. 전통적인 명조체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으로 구현하였습니다.

마치며

어도비 폰트의 한글 폰트 변천사는 한글 디지털 서체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합니다. 초기의 전통적인 서체에서부터 현대적인 디자인, 그리고 다국어 지원을 위한 협업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어도비는 한글 폰트의 다양성과 품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왔습니다. 특히 Adobe Korea1-2와 Adobe KR-9 문자 세트의 도입과 유니코드 기반의 글자 수 지원을 통해 한글 폰트의 범위를 넓히고,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어도비 폰트는 혁신적인 서체 디자인을 통해 디자이너와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할 것이며, 한글 폰트의 미래를 이끌어갈 것입니다.

참고 자료